<구글서치콘솔> <네이버웹마스터> <애드센스 광고> 말모이 잊혀질뻔한 우리 사전 편찬
본문 바로가기
재미있는 역사탐방

말모이 잊혀질뻔한 우리 사전 편찬

by 잔잔한 하루. 2022. 10. 10.
반응형







미르, 온새미로, 그린내, 마루, 슈룹, 가온누리, 윤슬
수피아 등의 뜻을 아시나요?
바로 순우리말입니다.

10월 9일 576돌 한글날입니다.
세종대왕이 한글을 만들고 3년 뒤 백성들에게
널리 알리게 됩니다.

말모이는 우리나라의 최초 한글 사전입니다.
1911년부터 1914년까지 주시경과 김두봉, 권덕규, 이규영 등이 편찬하였습니다.
주관은 조선 광문회에서 맡았습니다.



조선 광문회

1910년에 설치된 한국 고전 연구기관.










말모이 원고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말모이 원고








주시경은 한글학자입니다.
사전 편찬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240자 원고지에 작성되었습니다.
알기, 본문, 찾기, 자획 찾기와 같이 4가지로
나눠져 있고 붓글씨로 써져 있습니다.

말모이는 한글학자들이 문족주의적인 애국계몽 수단으로 편찬하려고 했습니다.
아쉽게도 출판되지는 못했습니다.
만약 말모이가 출판되었다면 한국 최초의 국어사전이 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용언의 어미, 체언의 조사를 포함해 토씨도 독립된 품사로 설정하였습니다.
이것만으로도 국어학적인 의미가 높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표제항과 뜻풀이 말을 모두 한글로 표기가 되어있습니다.





말모이의 뜻









말모이란 말은 말을 모아서 만든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사전을 의미하는 순우리말도 됩니다.






말모이가 만들어진 배경








말모이가 만들어진 시대는 일본과 여러 나라는 무력으로 강제 불평등 조약을 맺게 되었습니다.
그로 인해 우리나라는 일본에게 주권을 뺏기게 됩니다.

일본은 한글을 사용하지 못하게 했고 교과서도 일본어로 된 것으로 공부하라 강요하였습니다.
그것도 모자라 창씨계명까지 강제로 하게 됩니다.

이런 강요가 지속된다면 한글도 잃어버릴 것은
뻔한 이야기였습니다.

이를 지켜본 주시경과 그의 제자는 한글 교육을 위해 우리말 사전을 편찬하기로 마음먹은 것입니다.







말모이 출판은 왜 안됐을까









말모이를 편찬하던 중 주시경은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나게 됩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제자 중 한 명은 김두봉도 중국으로 망명을 떠나고 맙니다.

그 뒤 이규영까지 생을 다하며 말모이 편찬은 멈출 수밖에 없었습니다.








말모이 원고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말모이 다시 한번 주목받다








1919년 3.1 운동이 시작되면서 다시 한번 조선의 말과 문화를 연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 전까진 일본의 억압과 감시로 금지되어있었습니다.

이때 다시 한번 사전 편찬에 대한 열기가 높아졌습니다.
중국으로 망명 갔던 김두봉이 조선으로 돌아오며
사전 편찬에 동참하게 됩니다.

하지만 광복과 한국전쟁을 겪으며 말모이의 행방을 모연 해졌습니다.
그렇게 떠 또는 소문 정도로만 존재하게 됩니다.

정확한 해는 전해지지 않지만 경상도 사투리를 연구하는 한 학자가
어느 가정집에 보관 중이던 말모이를 우연히 발견합니다.

세상에 알려진 건 주시경 탄생 100주년이 되는 해인 1976년입니다.

여러 권으로 생각했지만 한권만 남아있으며 보물로 지정되었습니다.







정리









말모이는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는 국어 역사의 자료 중 유일한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사전 출판을 위해 남은 최종 원고라는 점입니다.

이는 우리 민족이 독자적으로 사전 편찬의 역량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또한 우리말과 언어를 지키기 위해 노력한 결과물이라는 생각도 듭니다.

최근 줄임말이나 외국어를 사용하며 한글을 점점 등한시하고 있습니다.
아이들에게 한글보다 영어를 먼저 알려주려고도 합니다.

무의식 중에 저도 아이에게 티브이에서 영어로 된 동요가 나오면 틀어주고 따라 불러주기도 합니다.
영어보다 다른 나라의 말보다 우리나라말을 깨우칠 수 있게 도와줘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한글날 단순히 쉬는 주말이 아니라 아이들과 순우리말이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시는 건 어떠신가요?







반응형

댓글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