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서치콘솔> <네이버웹마스터> <애드센스 광고> 세상에 적응하기위해 신생아는 이런 변화들이 있어요~
본문 바로가기
잊을까봐 적어놓는 정보

세상에 적응하기위해 신생아는 이런 변화들이 있어요~

by 잔잔한 하루. 2020. 7. 28.
반응형





열달동안 모든 사랑을 다
주면서 애지중지 열심히
키우잖아요.
어떤게 내 아이에게 헤가되지는 않는지
내가 먹는게 혹시나 아이에게
잘 못된 영향이 되지는 않는지
걱정하며 모든걸 조심하면서
보내는거 같아요.
또 병원에 방문할때마다
만나게되는 아이를보면서
잘 크고있는지 확인하게되면서
안도하게 되는데요.
이렇게 열달을 보내고 출산의
고통으로 만난 내 아이는
더 예뻐보일 수 밖에 없답니다.
태어난지 얼마되지 않는
신생아인 내 아이는 갑자기 바뀐
환경에 적응하기위해 많은걸
노력하고 있다고해요.
그중에 몇가지를 잊지않기ㅇ해
기록해두려고합니다.


우선 첫번째는 아이는 태어났을땐
평균적으로 3kg이 조금 넘는
몸무게로 태어나잖아요.
하지만 이렇게 태어난 아이의 몸무게가
세상에 태어난지 3일에서 4일정도
지난 후에는 몸무게가 조금
줄어드는걸 아셨나요.
열달동안 뱃속에있던 아이는
피부와 폐에 수분이 충분히 있었는데요.
더이상 폐에는 수분이 있으면 안되고
피부도 너무 많은 수분을 가지고있을
필요가없기에 증발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해요.
또 자주 먹기도하지만 배설하는 양도
많아지기때문에 줄어든다고합니다.
하지만 태어난지 일주일이 지난
시점부터는 다시 출산때 재었던
몸무게로 돌아온다고하니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데요.
단 2주가 지난 시점에도 아기의
몸무게가 원래대로 돌아오지 않는다면
의사선생님을 만나보시는걸
조심스럽게 추천드립니다.

두번째는 신생아의 경우에는
딱국질을 많이 한다고해요.
일반적인 어른들과는 다르게 아가들은
복식호흡을 하고있다고 하는데요.
그렇기때문에 횡경막을 이용해서
숨쉬기를 하고있답니다.
하지만 갑자기 외부의 어떤 요인으로
자극을 받는다면 횡경막이 수축하디되면서
딱국질을 하는 원인이 된다고해요.
이럴땐 아기의 머리에 모자를 씌워주거나
모자가 없을경우는 부드러운 수건으로
양머리를 만들어줘 씌워주면
딱국질이 거짓말처럼 멈추게 됩니다.
아기들은 아직 덜 성숙하기에
자주 딱국질이나 토를할 수 있기에
체온을 유지하는걸 신경써주고
갑자기 찬기운이 몸 안으로
들어가지않게 신경써 편안하게
생활할 수 있게 해요.

세번째는
아직은 우리 아기들이 위와
장의 기능이 미성숙하다는건데요.
수유직후나 분유를 먹은 후
트름을 시키지 않으면 토하는경우가 있어요.
물론 트름을 했지만 토하는
경우도 있고요.
위의 경우는 위 안에있는 음식물이
역류하는걸 방지하는 괄약근이 있는데
아직은 성인같이 제대로 된
역할을 할 수 없어서 쉽게
게워낼 수 있는거라고 해요.
또한 장도 아직은 소화 흡수력이
좋지 않기때문에 소화가
잘 안되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고해요.


네번째는
아기의 소변량이 적다는건데요.
태어난지 얼마 되지 않은
신생아는 먹는양이 많이 적다고해요.
그렇기때문에 대부분 처음에는
2시간에 한번씩 먹여야한다는
얘기를 들어보셨을꺼예요.
그래서 소변의 양이
적을 수 밖에 없는거랍니다.
하지만 먹는양이 점점 늘어나면
소변의 양도 늘어나게되니
너무 걱정 마세요.
평균적으로는 하루에 20번정도
소변을 보는데요.
시간으로 보면 대략 1시간에서 3시간 사이에
한번씩 본다고합니다.
그런데 아이가 소변을 시원하게
보지 못하거나 똑똑 떨어지는것처럼
본다면 반드시 병원에
데리고 가셔야된다고하니
작은것도 불편한데가 없는지
잘 관찰해봅시다.

마지막으로는
황달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는건데요.
3일에서 4일정도 지난 시점부터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이라고 해요.
아직은 간이 제대로 완성되지 않아
소화효소가 쌓이다보면
생길 수 있는 일이라고합니다.
대략적으로 일주일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없어지는
현상이기도 하다는데요.
하지만 배꼽 아랫부분이 까맣게 되거나
2주가 넘게 증상이 완화되지않으면
반드시 의사선생님의 진료를
받아야합니다.

이렇게 말하지 못하는
아기들의 변화를 기록해보았는데요.
대부분이 증상이 발생하는 시점이
태어난지 4일정도 지나고나서부터이고
자연스럽게 없어지는 현상도
일주일정도가 지나면 괜찮아지는거 같아요.
하지만 2주가 지난 시점까지
나아지지않는다면 반드시
병원에 가야한다는걸
꼭 기억해야겠어요.
세상에 태어나 적응하기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있는 우리
아기를위해 조금 더 자세히
관찰해 보아요.

반응형

댓글


TOP

Designed by 티스토리